티스토리 뷰

플레이어(Player) 게임 참여 링크

(반드시 크롬 브라우저로 이 사이트를 열어야 합니다.)

https://script.google.com/macros/s/AKfycbxYQZ7KQSVlzCYe5-9VriZyIelvJ3ht82MLPB2kGEAamIy5-MjbCnin61jTgksJgVj3/exec

플레이스토어에서 '환경 딜레마 게임'으로 검색합니다.  이 게임은 안드로이드 앱에서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Host) 게임 스코어보드 컨트롤하는 법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에서 '환경 딜레마 게임'이라는 앱을 설치합니다. 앱에서만 게임 스코어보드를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이 게임에서는 최대 60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게임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대형 화면이 있는 학급이나 단체 모임에서는 언제나 사용 가능합니다.

 

게임 스코어보드 링크

r101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230648797
r102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1908376062
r103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769878024
r104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1110431811
r105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182906026
r106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1414707400
r107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214882071
r108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1688674960
r109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204657004
r110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1773945066
r111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1490904485
r112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1409994026
r113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226947730
r114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1475106067
r115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2128450545
r116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875374552
r117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288727099
r118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606895809
r119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1971023933
r120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OonrQ6LBggGEhLR6EM5GJ0Rbpk6p9RfS59417s1s0A/edit#gid=292183116

게임의 전략

1. 사전 설문조사에 따라 년 전력소비량과 년 전기요금 증가율이 결정됩니다. 반 구성원의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인식에 따라 값의 변화가 발생합니다. 게임의 승패와는 아무 상관이 없으므로 소신껏 설문조사에 응하면 됩니다.
2. 이 게임에는 4가지의 우승조건이 있습니다. 지구가 멸망(회복할 수 없는 위험에 처한 경우)이 되는 경우가 3가지인데, 원자력으로 인한 방사능 오염으로 멸망,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멸망, 미세먼지로 인한 멸망입니다. 이 경우에는 각각에 대해서 가장 적게 발전한 순서로 우승입니다. 전체 플레이어들의 성향을 잘 파악하여 우리 공동체는 지구를 멸망시킬까? 아니면 지구를 멸망시키지 않을까?를 게임의 초창기에 결정하면 좋습니다. 게임의 구조상 확률은 50%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플레이어들의 성향 상 초반 라운드에 대략적으로 게임의 향방이 결정될 수도 있습니다.
3. 지구가 멸망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익을 가장 많이 남긴 순서로 우승입니다. 단, 이 경우에도 발전 이익은 최종 라운드에는 반드시 0보다 커야 합니다. 그러나 지구가 멸망했을 경우에는 이익이 (-)인 경우라도 아무런 제약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플레이어들이 지구를 멸망시킬 것 같다면 그 반대로 선택하면 됩니다.
4, 초반 라운드에 원자력의 발전단가가 현저하게 저렴합니다. 그러므로 초반 라운드에는 플레이어들이 원자력으로 이익을 많이 남길 확률이 큽니다. 이 경우에는 방사능으로 인한 지구 멸망에 가까워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원자력을 제외한 발전을 한 팀이 우승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5. 이익으로 우승을 노리는 경우라면 원자력 발전으로 치중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총 12라운드 중 7라운드와 8라운드가 고비입니다. 7라운드부터 원자력의 발전 단가가 친환경 에너지와 별로 차이가 나지 않으며, 8라운드에는 역전이 됩니다. 8라운드부터는 발전 이익을 많이 남기기 위해서는 태양광 에너지 위주로 발전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6. 초반 라운드부터 태양광이나 풍력 위주의 친환경 에너지 위주로 발전을 하게 되면 손해가 많이 나게 됩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온실가스나 미세먼지, 방사능 오염을 거의 배출하지 않습니다. 즉, 멸망을 늦춘다는 것입니다. 만약 지구가 멸망한다면 우승할 확률이 가장 높습니다. 이 경우에는 이익이 (-)이어도 상관없습니다.
7.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이 지구가 멸망할 것을 예상하고 반대로 손해를 보더라도 태양광과 풍력 위주의 발전 전략을 세울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되는 경우에는 마지막 라운드까지 지구가 안 망할 가능성이 크게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익이 큰 경우가 우승이 되므므로 초반 라운드부터 지나치게 태양광과 풍력 위주로 발전 전략을 세우는 것도 위험한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8. 7, 8라운드 이후에는 분명히 원자력과 석탄의 발전단가가 높아서 발전 상 손해입니다. 그런데 우승은 포기해서 의도적으로 지구를 멸망으로 이끌려는 플레이어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즉, 7라운드 이후에도 원자력과 석탄 발전을 선택하는 플레이어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게임에 참여하는 플레이어들은 7, 8라운드에 지구 멸망에 이르지 않았다고 안심해서는 안됩니다. 플레이어들은 이런 변수들까지 모두 고려하여 게임의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게임의 개요

“향후 10년의 기후행동이 다가올 수천년을 결정할 것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공개한 ‘제6차 평가보고서에 담긴 핵심 메시지입니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2040년 이전에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온도가 1.5℃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지구촌 각국 나라들은 탄소 배출과 지구온난화 문제를 걱정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 들어가면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특별히 탄소 배출이 가장 많은 발전 부분에서 아직도 값싼 연료인 석탄과 석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방사능의 위험이 있는 원자력 발전에 의존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각 나라의 경우 발전단가의 상승이 자국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엄청나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만 하더라도 전기는 국민 개개인이 사용하는 것보다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기 소비량이 훨씬 많습니다. 대신 정부에서는 산업 활성화를 위해 산업용 전기는 가정용 전기에 비해 절반 이하의 가격에 공급함으로써 무역 경쟁력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손실 비용은 국민 세금으로 메꾸는 형국입니다.
특히 대한민국은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중화학, 기계, 첨단 산업 분야가 많습니다.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양이 엄청나고 삼성 반도체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량이 엄청납니다. 이렇게 국가의 기간 산업 분야에서 막대한 전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위해서는 값싸게 전기를 생산해내야 합니다. 결국은 값싼 석탄을 사용하는 것이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되는 형태입니다. 이러니 아직까지는 발전 단가가 석탄의 2배가 넘는 신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을 엄두도 못 내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각 나라가 고민하고 있는 동안 지구 대기 속 이산화탄소 농도는 점점 높아만 가고 있습니다.

2030년 까지의 전력소비량과 최대 전력 예측 결과

전 세계적인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및 자동차 매연 감축 협정으로 인해 전기 발전 산업은 딜레마에 빠져 있습니다. 환경 규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적인 발전을 하면 되겠지만 생산단가가 너무 비싸 이익을 낼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잘 운영만 된다면 환경 오염은 덜하면서 저렴한 가격에 전기를 생산해낼 수 있었던 원자력 발전마저 2011년 일본 원전 폭발 사고로 안전성에 의문이 제기되어 원전 폐기 정책을 펴고 있는 중입니다. 태양광과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는 아직까지는 생산단가가 너무 비싸지만 어쩔 수 없이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친환경으로의 에너지 정책 전환을 해야 할 지도 모릅니다. 더구나 2031년에는 전기자동차만 허용되도록 예고 되고 있어 전기 사용량은 나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렇게 복잡한 전기 생산과 사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발전 정책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될까요?

본 게임은 이러한 지구온난화와 탄소 배출 그리고 각국 정상들의 이에 대한 대처와 자국에서의 반발과 연관 있는 게임입니다. 게임은 이렇게 진행됩니다.

매 라운드에 각 팀(나라)은 해당 년도의 예상 최대 전력 소비량을 넘도록 5가지 발전 방식의 발전량을 입력합니다.
- 되도록 전기 생산량을 해당 년도의 최대 전력 소비량과 똑같이 맞추도록 합니다. 부족하면 블랙아웃 발생으로 막대한 손해를 입습니다.

우승조건 : 지구가 멸망하지 않았을 때는, 총이익이 가장 높은 팀 순서로 우승. 그러나 총 이익이 (-)인 경우에는 우승에서 배제됨.
미세먼지, 지구온난화, 방사능으로 지구 멸망 등이 발생했을 때
(1) 미세먼지 과다로 지구 멸망 : 미세먼지를 가장 적게 배출한 팀 순서로 우승입니다. , 총 이익이 반드시 (+)이어야 합니다.
(2) 지구온난화로 지구 멸망 : 지구 온난화 기여량이 가장 적은 팀 순서로 우승입니다. , 총 이익이 반드시 (+)이어야 합니다.
(3) 방사능 위험으로 지구 멸망 : 방사능 위험도 기여량이 가장 적은 팀 순서로 우승입니다. , 총 이익이 반드시 (+)이어야 합니다.

각 나라들은 매 라운드에 탄소를 얼마를 배출할 것인 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탄소를 많이 배출할 수록 자국의 경제적 이익은 높습니다. 우승 조건이 자국의 경제적 이익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탄소를 많이 배출하고자 하는 유혹에 빠지게 될 것입니다.

 

 

준비물

(1) 스코어보드판을 위한 화면(태블릿 10인치 이상 화면) : 게임 참가자들이 스코어보드판을 통해 게임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용도.
되도록 큰 화면일 수록 좋음
4~5명의 소수 인원일 경우에는 태블릿 화면으로도 매 라운드의 점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음.

(2) Player와 Host 용 휴대폰(반드시 안드로이드) 또는 태블릿

(3) OnBoardGame 앱 설치(안드로이드용). 플레이스토어에서 온라인보드게임 또는 OnBoardGame이라고 치면 됨.

우승조건

기본적으로는 총 이익이 가장 많은 팀이 우승입니다. 그러나 지구가 회복할 수 없는 위험에 처하게 한 원인에 따라 해당 원인을 가장 적게 기여한 팀 순서로 우승입니다. 즉, 지구온난화로 지구가 회복할 수 없는 위험에 처했다면 지구온난화를 가장 적게 기여한 팀 순서로 우승이고, 방사능 피해로 지구가 회복할 수 없는 위험에 처했다면 원자력발전을 가장 적게 한 팀 순서로 우승입니다. 

게임 전략

1. 플레이어들의 성향을 봤을 때 미세먼지, 지구온난화, 방사능으로 지구가 회복할 수 없는 위험에 빠지게 할 것인 지, 아니면 지구가 위험에 빠지지 않게 될 것인지를 추측해봅니다. 만약 지구가 회복할 수 없는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예측한다면 미세먼지, 지구온난화, 방사능 중 어느 것으로 지구가 위험에 빠지게 될 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자신의 선택과 판단에 따라 가장 적은 방향으로 낮추는 전략으로 간다면 우승 확률이 높을 것입니다.
2. 만약 지구가 위험에 빠지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면 이익이 가장 높은 것 순으로 전기를 생산합니다.
3. 이익만을 쫓거나 지구가 위험에 처할 것으로 판단하고 저이익으로 나가는 방향이 아니라 중립적으로 이익을 취하다가 중반 이후부터 급격하게 가장 가능성 있는 부분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메인 화면

온라인 보드게임(onBoardGame 앱) 메인 화면

보드 게임 목록은 앞으로 계속 추가될 예정입니다.

비어있는 보드 게임방 가져오기를 클릭하면 맨 처음 비어 있는 방을 가져옵니다. 기본적으로 a001 ~ a200까지 200여개의 방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사용되지 않고 있는 방 중에서 맨 처음 번호의 방을 자동으로 가져옵니다.

**사용자가 많을 경우에는 동시에 같은 방 번호가 뜰 수도 있게 되어 호스트가 입장했는 데, 없는 방이라고 뜰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a002번 방이 비었다고 나온 경우에는 멀찍이 a100번 방으로 들어가자고 하면 됩니다. 
1번 텍스트 상자에 Player와 Host가 모두 a100으로 입력하고 들어가면 됩니다

2번의 스코어보드판 열기를 클릭하면 스코어보드판이 새 창으로 열립니다. 게임 참가자 모두가 게임 진행 상황을 볼 수 있는 스크린. 휴대폰 화면으로는 작게 보이겠지만 화면을 이동시키면서 볼 수는 있습니다. 

3번 게임 Home은 게임에 대한 자세한 목록이 나와 있는 곳입니다. 여기에서 전체 게임들의 스코어판을 확인할 수도 있고 게임 매뉴얼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스코어 보드판

Player 입력 화면

먼저 맨 아래의 게임 매뉴얼을 클릭하여 게임에 대해 이해합니다.

플레이어는 매 라운드를 선택하고 팀을 선택합니다. 이것은 1라운드에 한번 하면 다름 라운드에는 자동으로 넘어갑니다.

 

Host 입력 화면

1번은 가장 먼저 호스트가 해야 할 일입니다. 해당 게임의 플레이어수를 선택하고 스코어보드판을 초기화하는 작업입니다. 
그리고 처음에 1라운드를 선택하고 라운드를 변경합니다. 물론 스코어보드판에 1라운드라고 되어 있으면 굳이 라운드 변경하기를 클릭할 필요없습니다.

 

간혹, 호스트도 플레이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호스트는 플레이어로 참여하기를 눌러서 플레이어가 되어 입력한 후 다시 호스트 화면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게임 활용

반응형
댓글